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한화생명 주가는 170원(6.25%) 오른 2890원에 장을 마감했다. 석 달 전(작년 10월 4일) 주가와 비교하면 36% 상승했다.
같은 기간 다른 생명보험사인 삼성생명과 미래에셋생명도 각각 16%, 6% 올랐다. 한화생명 주가가 상대적으로 많이 상승한 것은 국민연금이 지난달 한화생명에 대한 보유 지분을 5.12%에서 6.12%로 늘린 영향도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올해 1월부터 보험회사에 새로운 회계기준(IFRS 17)이 적용돼 생명보험사 실적이 증가할 전망이다. 금리 인상이 IFRS 17 기준으로는 지급 여력 상승 요인으로 작용해 금리 인상 수혜를 제대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KB증권은 한화생명에 대한 투자의견을 '매수'로 상향하고 목표주가 역시 3200원으로 28% 올렸다.
강승건 KB증권 연구원은 전날 보고서를 통해 "높아진 금리 수준이 현행 회계 기준상 지급 여력 악화나 자본 감소로 나타났다고 했다.
새 국제회계기준으로는 지급 여력 상승·자본 증가로 보인다는 점에서 2022년 상승한 금리 영향이 주가에 충분히 반영되지 않았다"며 "보험업종은 IFRS 17 도입 이후 상대적으로 선호도가 커질 것"이라고 판단했다.
이병건 DB금융투자 연구원은 한화생명에 대한 목표주가를 3600원으로 상향하면서 "현재 국고 10년물 금리는 3.5% 내외로 크게 상승했고 이에 따라 한화생명 펀더멘털도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김한화그룹 회장 김승연은 2023년 1월 신년사에서 대우조선해양 인수와 관련해 "국가를 대표하는 사업을 키운다는 책임을 갖고 지역사회와 국가발전을 이끄는 글로벌 메이저 사업으로 키워나가자"고 강조했다.
한화그룹은 2022년 12월16일 대우조선해양 인수를 위한 유상증자에 참여하는 신주인수계약을 체결했다.
국내외 인허가 절차를 거쳐 이르면 2023년 상반기에 대우조선해양이 완전히 한화그룹으로 편입될 것으로 전망된다.
김승연은 14년 만에 대우조선해양 인수를 이루게 됐다. 한화그룹은 2008년 대우조선해양 매각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으나 글로벌 금융위기의 여파로 인수를 마무리해지 못했다.
한화그룹은 2조 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통해 대우조선해양 지분 49.3%를 확보하기 위해 2022년 9월26일 대우조선해양과 경쟁입찰과 실사, 해지 등에 관한 내용을 담은 조건부 투자합의서(MOU)를 맺으며 대우조선해양 인수 추진을 공식화했다.
댓글 영역